00초
안전한 사이트이용을 위하여 10분동안 이용이 없을 경우
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.
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?
2023.12.06
[1] 어르신들이 속기 쉬운 불법 유사수신 업체 사기수법 및 대응요령
① (오프라인 투자설명회 활용) 어르신들이 오프라인 투자설명회를 선호한다는 특성상 전국 각지에서 투자설명회 등을 개최하여 전도유망한 사업*을 진행하고 있다며 어르신들을 현혹
-> 현장 투자설명회를 통해 장래 전도유망한 사업이라고 현혹하더라도 반드시 사업내용을 꼼꼼히 확인
② (모집수당을 미끼로 유인) 투자설명회 참석자, 기존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고액의 모집 수당*을 주면서 주변 지인, 가족 등에게 투자를 권유
-> 가족, 가까운 지인이 원금 보장, 모집수당 등을 미끼로 투자를 권유하는 경우에도 불법유사 수신사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심할 필요
③ (조합 사업 가장) 조합원들이 출자금을 내고 수익을 공평하게 배분한다는 특징을 강조하며 합법적인 업체인 것처럼 협동조합·영농조합 등 조합 사업을 가장
- (평생 ‘연금’처럼 확정 수익을 지급한다고 현혹) 노후대비가 되어 있지 않거나 미래 현금흐름이 불확실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평생 연금처럼 확정 수익(배당금)을 지급 한다며 어르신들을 현혹
-> 조합 사업을 가장하여 확정 배당금을 제공한다고 현혹하는 경우 불법유사 수신업체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
④ (금융회사를 사칭하며 가짜 지급보증서 제공) ◎◎투자금융, ▲▲보증금융, ◈◈인베스트 등 금융업 유사상호*를 사용하고 인터넷 홈페이지도 금융회사의 홈페이지를 도용하는 등 어르신들이 금융회사로 오인할 우려가 높음
-> 금융회사를 사칭하면서 지급보증서를 제공하는 경우 제도권 금융회사 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
-> 불법 유사수신 업체로 의심되는 경우 증빙자료(녹취록, 문자메시지 등)를 첨부하여 수사기관 또는 금융감독원에 신속하게 신고
[2] 보이스피싱
① (가족·지인 사칭 메신저 피싱) 자녀나 지인이라고 하며 문자, 카톡으로 신분증,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거나 인터넷 주소를 유도하는 경우
-> 이러한 문자, 카톡을 받으면 일단 답하지 말고 바로 가족이나 지인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통화로 지인이 맞는지 확인할 필요
② (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) 경찰청, 검찰청, 금융감독원 직원이 전화를 하며 현금이나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경우
-> 검찰, 경찰 또는 금감원 직원은 절대 현금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당황하지 말고 바로 전화를 끊거나 메시지를 삭제할 필요
-> 수사기관, 금감원 직원이 돈이나 개인정보, 앱설치를 요구하면 반드시 거절!
③ (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) 정부 지원금, 저금리 대출 등을 광고하며 기존 대출 상환, 수수료를 요구하거나, 비대면 대출이라며 출처 불명의 링크를 클릭하게 하는 경우
-> 정상 금융회사는 전화, 문자로 불특정 다수에게 대출 광고를 하지 않고, 앱 설치 요구를 하지 않음
-> 이 앱은 ‘전화 가로채기’앱으로 경찰이나 금융감독원으로 신고 전화를 해도 보이스피싱 일당이 전화를 받는 무서운 피해를 입게 되므로 주의할 필요
출처 : 금융감독원 / (http://www.fss.or.kr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