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객센터

소비자 주의경보

현명한 카드생활, BC카드가 알려드립니다. 금융거래 시 유의해야 할 자세한 사항 및 기타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안내해 드립니다

오늘부터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도 피해구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

2023.12.06

 

오늘부터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도

피해구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

 

보이스피싱 사기범을 만나 직접 현금을 전달하는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그간 건수 및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*하여 피해자 보호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나, 통신사기피해환급법은 계좌간 송금이체된 보이스피싱에만 적용되어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 피해자는 계좌 지급정지, 피해금 환급 등의 구제절차를 신청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.

* ’19 3,244(8.6%) ’20 15,111(47.7%) ’21 22,752(73.4%) ’22 14,053(64.4%) [경찰청]

 

이에 정부는 ’22.9.29. 국무조정실 주관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TF에서 금융분야 대책을 발표하고,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을 피해구제 대상에 포함시키는 법 개정을 추진하였고, 23.5.16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·공포되어 오늘부터 시행된다.

 

개정된 통신사기피해환급법 따르면, 수사기관이 보이스피싱 사기범 등을 검거하면서 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에 사용된 사기이용계좌를 확인하면, 해당 금융회사에 지급정지를 요청할 수 있다. 이후 수사기관은 수사 과정에서 피해 경위를 파악하여 피해자 및 피해금을 특정하고 금융회사에 통지하면 금융회사는 수사기관으로부터 통지받은 피해자에 대하여 금감원에 채권소멸절차 개시 공고를 요청하면서 채권소멸과 피해환급금 지급 등의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 

 

대면편취형 보이스피싱의 증가 추세 및 전체 발생 건수에서 차지하는 높은 비중 등을 감안할 때, 개정법 시행으로 상당한 정도의 피해 구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.

 

금융당국은 그간 경찰청 및 금융업권과 실무회의를 통해 긴밀한 연락체계 구축, 전산 개발, 업무 매뉴얼 마련 등 관계기관 간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여 개정법의 차질 없는 시행을 준비하였고, 개정법 시행 이후에도 경찰청, 금융업권과 지속적으로 협업하여 보이스피싱 피해금이 피해자에게 환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.

 

 

◈ 계좌이체형 피해구제 절차

(피해자)구두 지급 정지 요청 -> ② 서면 피해 구제 신청[3영업일+14] -> (금융회사)채권소멸절차 개시 공고 요청 --> (금감원) 채권소멸절차 개시공고[2개월]및 채권소멸 사실통지 -> ⑤ 피해환급금 지급 결정[2]

-> (금융회사)피해환급금 지급

 

◈ 대면편취형 피해구제 절차

(수사기관)구두 지급 정지 요청 -> ② 서면 지급정지 요청[3영업일] -> ③ 피해경위 조사 -> ④ 서면 피해구제 신청[30영업일] -> (금융회사)채권소멸절차 개시 공고 요청 -> (금감원)채권소멸절차 개시공고[2개월] 및 채권소멸 사실 통지 -> ⑦ 피해환급금 지급 결정[2] -> (금융회사)피해환급금 지급

 

출처금융감독원 / (http://www.fss.or.kr)